![[출처=뉴시스]](https://bizfocus.kr/news/data/20190120/p179569968842092_295.jpg)
[소상공인포커스=정장섭 기자] 정부가 올해 무인이동체(드론) 핵심기술 개발에 73억원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도로 위 자율주행차와 하늘을 나는 드론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협력 비행·주행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또 여러 소형 드론과 육상 무인이동체 간 자율협력체계를 구현하는 다중협력·임무최적화 기술 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세계 선도적인 무인이동체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개발사업'의 올해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투자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최초로 연구개발(R&D)와 공공조달을 연계한 공공혁신조달 체계를 도입해 지난해 국방부 수요를 반영한 '군사용 다목적 무인이동체' 개발을 완료하고 조달청의 우수조달물품으로 지정되는 성과를 창출했다.
현재 개발이 완료된 무인이동체는 국방부에 양도돼 실제현장에서 시범운용 중이다. 올해는 일부 내역이 종료됨에 따라 그간 창출된 연구성과의 공유, 확산, 기술이전 등을 활성화하고 평가를 내실화하는 데에 주력한다.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https://bizfocus.kr/news/data/20190120/p179569968842092_719.jpg)
이번 시행계획에 따르면 급증하는 드론 활용에 대비해 저고도(150m 이하) 공역에서 다수 드론이 안전하게 운용될 수 있도록 교통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2단계 연구를 지원한다.
운용 중인 드론의 소유자 식별, 실시간 관제 등이 가능하도록 정밀통합 항법기술, 정보교환 단말장치, 불법행위 억제기술 등의 실증연구도 올해부터 2021년가지 추진한다.
특히 올해는 과제별 연구성과 중 중소기업 수용도가 높은 기술을 모아 기술보급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주요 권역별로 교육 및 워크숍을 실시해 기술이전을 촉진함과 동시에 영세한 국내기업의 기술력 확충을 지원한다.
또한 연구성과 중 국방 분야 활용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 사장되지 않고 후속연구 지원을 통해 실제 상용화로 연계될 수 있도록 '드론·로봇 분야 민군협력 협의회'를 통해 산업부, 국방부와 적극 협의할 예정이다.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https://bizfocus.kr/news/data/20190120/p179569968842092_871.jpg)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무인이동체는 농업, 환경, 운송 등 타 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커 다방면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할 뿐 아니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분야"라며 "상용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보다 혁신적인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올해 5G 이동통신이 본격 상용화 되는 만큼 무인이동체 분야에서도 그 흐름에 맞춰 새로운 서비스를 선점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종료될 내역의 후속연구를 위해 자율협력형, 융·복합형 등 미래형 무인이동체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 중에 있다. 또 D(Data)·N(Network)·A(AI) 기반으로 무인이동체 활용성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신규사업 기획도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