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포커스 = 노가연 기자] 드론이 일상생활과 산업 속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재난·재해와 수색·구조, 다목적 수색·경비와 지형정보 수집 등 다양한 분야로 쓰임새가 늘어나고 있다. 정부도 드론 산업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7~8일 도심 드론 활용을 위한 드론 실증도시 계획발표 등 2019년 드론 규제유예제도(규제 샌드박스) 사업 설명회와 2018년 사업성과 발표로 구성된 ‘공공수요 확산을 위한 드론 규제샌드박스 박람회’를 개최한다.
![]() |
▲ 규제 샌드박스 공모분야 예시. (국토교통부 제공) |
규제 샌드박스는 규제 완화, 자금지원, 수요·공급 연결을 통해 민간 드론업체가 보유한 우수 기술을 조기에 상용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국내 산업용 드론 시장의 외연을 확대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지난해에는 ▲격오지 물품배송 ▲재난·재해 및 수색·구조 ▲사회기반시설 정밀점검 ▲해양분야 경비 및 수색 ▲다목적 수색·경비 및 지형정보 수집 등 5개 분야와 자유공모 분야의 9개 사에 40억 원을 투입해 드론을 활용한 사업모델 실증을 지원했다.
올해는 투입 예산을 75억 원으로 늘렸다. 실증지원 분야도 10개 내외로 늘리고, 지자체 공모를 통해 도심 내에서 드론 기술을 실증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박람회의 주요 내용을 보면 7일에는 5개 공공기관(육군·기상청·부산본부세관·해경·LH)에서 드론 규제샌드박스 사업을 통해 실증을 거친 드론을 각 기관의 업무수행에 실제로 올해 활용할 계획을 발표한다.
8일에는 드론 규제샌드박스 사업에서 발굴한 기술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는 24건의 비행규제 및 사업규제와 개선방안을 발표한다. 또 드론 규제샌드박스 사업에 참여했던 9개 제작업체에서 직접 실증했던 내용도 소개한다.
특히 올해 추진될 도심지역 드론 상용화를 위한 드론실증도시 공모를 포함해 사업자공모·자유공모 부문 사업설명회가 진행된다. 사업자 공고는 오는 15일 한다.
실증도시 공모는 도심지역 내 드론 활용 활성화를 위해 세부 시험과 실증 아이템을 지자체 특성에 맞게 제안한다. 채택된 지자체에 대해 실증·활용을 추진(2개 내외 지자체 선정)한다.
사업자 공모는 10개 내외의 사업 분야를 선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완제기·소프트웨어·서비스 등에 실증 지원한다.
자유 공모는 도전적인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는 새싹기업 위주로 선정한다. 3개 내외 업체를 선정해 지원한다.
행사 기간 드론을 활용한 물품배송·해안감시·지형정보 수집 등 드론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실증된 드론이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시연을 볼 수 있다. 드론 100대가 비행하는 군집비행도 관람할 수 있다.
드론 규제 샌드박스 참여 9개 업체뿐 아니라 판교 기업지원허브 업체·드론 기업인 연합회 업체·청라 로봇랜드 입주업체 등 50개 드론업체의 드론기체 전시도 열린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