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픽사베이) |
[소상공인포커스 = 조무정 기자] 국토교통부가 인공지능(AI)·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반영된 ‘제4차 철도안전종합계획’(2023~2027) 수립을 추진한다.
29일 국토부에 따르면 제4차 종합계획은 철도안전 분야의 첨단화·과학화를 통한 철도안전관리 실현을 주요 목표로 한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2027년 오송에 제2철도교통관제센터를 구축하고, 시 도입 예정인 AI·빅데이터 기반의 신철도관제시스템과 무인운전 철도차량시스템, 철도 신호통신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결·구성해 평소는 물론 사고·장애 시에도 제한된 선로를 시스템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또 IoT·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철도차량과 철도시설이력관리 시스템을 통해 철도사고·운행 장애의 근본 원인을 사전에 관리하고, 사고·장애가 발생해도 원인을 빠르게 파악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무인운전의 일반화와 노면 전차(트램)와 같은 신교통수단의 도입 등 미래 철도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철도안전 관리체계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국토부는 제4차 종합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전문성을 확보하고, 충분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단 운영을 포함한 정책연구용역을 시행한다. 용역 기간은 오는 11월부터 내년 12월까지다. 용역금액은 1억1000만원 이내다.
정책연구용역이 완료되면 철도안전법상 종합계획 변경 절차에 따라 관계부처·철도운영기관과 협의 후 철도산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임종일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제4차 종합계획 추진을 위한 의견수렴 과정에서 철도운영기관 뿐만 아니라 현장 종사자들에 대한 의견도 충실히 수렴해 종합계획이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