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포커스=구경회 기자] 앞으로 국민 생활과 지방행정 과제 해결에 빅데이터가 적극 활용된다.
행정안전부는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용인시, 남양주시 등 11개 지방자치 단체와 함께 ‘2018년도 공공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을 올해 말까지 개발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공공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은 △데이터 기반의 주차난 완화 방안 도출 (경남, 보령시) △쓰레기 감소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부천시, 용인시) △빅데이터에 기반한 생활인구 분석 (경남, 제주도) △전기차 충전 인프라 설치 입지 선정 (남양주시, 고창군) △보육서비스 강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달성군, 화성시) △1인 가구의 노후복지 수요예측 (제주도, 고창군) △ 공공 와이파이 우선 설치지역 도출 (전남, 경북) 등으로 7개 분야 10종이다.

아울러 지난해 개발된 ‘구급차 골든타임 확보’ 표준분석모델의 전국 지자체 확산 사업도 같이 추진할 계획이다. ‘구급차 골든타임 확보 모델’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구급차 운영배치 및 119안전센터 입지 최적화를 통해 국민생명 보호에 도움이 되는 표준분석모델이다.
올해는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충청북도, 경상북도, 제주특별자치도 5개 시도를 대상으로 추진하고 이 사업이 완료되면 기존에 보급된 광주 ·전라북도를 포함해 전국 지자체 중 13개 시도에 보급할 방침이다.
김일재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구축 및 확산을 통한 국민 생활·지방 행정과제 해결방안 마련으로 행정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라며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정부 혁신 및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이 확산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