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지 등에서 직접 구입한 좋은 재료만 사용해서 떡을 만드는 김용판, 박은숙 부부.(사진=이경희 기자) |
‘무색소, 우리쌀’ 대영떡집 김용판, 박은숙 부부가 제일 강조해달라는 말이다. 떡의 색깔을 내는 데 인공색소를 쓰지 않고 천연재료의 색을 그대로 낸다. 검은색은 검은깨로, 노란색은 단호박으로 내는 식이다.
뿐만 아니다. 떡에 들어가는 팥이나 콩, 밤 등의 재료도 통조림에 든 것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시장에서, 혹은 직접 산지에서 구한 재료들을 삶아서 고명이나 소로 사용하고 있다. 그렇게 하면 발품도 많이 팔아야 하고, 손도 많이 가지만 건강한 우리 먹거리를 지키기 위해 부부는 철저하게 이 원칙을 지키고 있다.
![]() |
▲발품도 많이 팔아야 하고, 손도 많이 가지만 건강한 우리 먹거리를 지키기 위해 부부는 철저하게 이 원칙을 지키고 있다.(사진=이경희 기자) |
떡을 사러 온 손님들에게 일일이 이런 원칙을 설명하지 않아도 한두 번 대영떡집의 떡을 맛 본 손님들이 먼저 알고 물어본다. 이제는 제법 입소문이 나 멀리서도 일부러 찾아오는 손님들이 있을 정도다. 오랜 시간 원칙을 지켜온 덕이다.
김용판 사장은 “떡의 맛을 좌우하는 것은 좋은 쌀이 기본입니다. 거기에 좋은 부재료들이 더해져서 맛을 더하는 거죠.”라며 ‘무색소, 우리쌀’이란 대영떡집의 변하지 않는 원칙이 손님들에게 인정받는 것 같아 기분이 좋다고 한다.
![]() |
▲발품도 많이 팔아야 하고, 손도 많이 가지만 건강한 우리 먹거리를 지키기 위해 부부는 철저하게 이 원칙을 지키고 있다.(사진=이경희 기자) |
가게 앞 진열대에 검은깨 가루가 입혀진 하얀 백설기와 노란 단호박 가루를 입은 인절미, 직접 삶은 밤과 팥으로 속을 넣은 떡들이 먹음직스럽게 놓여있다. 욕심내지 않고 손님들을 위해 건강한 우리 먹거리, 떡에 대한 자부심과 철저한 원칙을 지켜나가고 있는 대영떡집 김용판, 박은숙 부부의 선한 맘이 전해진다.
소상공인포커스 / 이경희 기자 leegh0224@bizfocus.kr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