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픽사베이) |
[소상공인포커스 = 김성환 기자] 정부가 올해 국산 백신 1000만 회분(최대) 선구매를 추진한다.
정부는 23일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현황과 지원방안,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R&D 지원 강화방안, 2022년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 예산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공동위원장), 류근혁 보건복지부 제2차관, 관계부처와 국내 치료제·백신 분야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국산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지원 차원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개발한 국산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최대 1000만 회분 선구매를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SK바이오사이언스 개발 백신은 지난 10차 범정부지원위원회에서 정한 선구매 전제조건(2차 중간결과 발표·3차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충족했다”며 “임상 2상 중간 결과 등을 토대로 안전성과 면역원성, 활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선구매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계약 조건 등은 실무적인 논의를 거쳐 이른 시일 내에 계약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국산 백신이 내년 상반기에 상용화될 수 있도록 ▲임상시험 참여자 모집 강화 ▲해외 임상 지원 ▲신속한 검체 분석 등의 임상 3상 집중지원체계를 지속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시험을 끝까지 지원하고, 개발 가속화와 성공 가능성 제고를 위해 임상시험 R&D 지원을 강화한다.
치료제·백신 연구개발의 공익성, 성과 창출 가능성 등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임상시험 R&D 과제에 대한 기업 자부담금 완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현재 치료제·백신 임상지원 R&D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은 일정 비율(총 연구개발비의 50~25%)의 연구개발비를 자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정부는 중견·중소기업의 임상비용 부담 경감을 위해 ▲백신 임상 1~3상 ▲치료제 임상 2~3상 및 신약(약물재창출 제외)에 한해 민간부담률과 현금부담률 지원 완화 방안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또 치료제·백신 개발 가속화를 위해 국가연구기관-출연연-대학-기업 등이 참여하는 민·관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민·관 연구 협력을 강화한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를 중심으로 우수 기술과 생산 인프라를 보유한 기업·출연연 등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감염병연구기관 협의체와 바이러스 연구협력협의체 등을 통해 민-관 연구 네트워크 간 협력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한편,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등을 위해 내년 총 5457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이는 올해 본예산 대비 약 107.7%(2830억 원) 증가한 금액이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을 위해 3210억원을 투입해 임상·비임상단계의 연구지원을 강화하고 국산 백신 선구매를 추진한다.
또 치료제·백신 시험법 등 개발, 생산 기반 마련을 위한 실험 시설·장비 구축 등에 1193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신속진단, 지능형 기기 등 차세대 감염병 장비·기기 개발과 고도화, 국산화에는 364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감염병 관련 핵심기술 개발, 허가 지원을 위한 평가 연구 등 기초연구 강화를 위해서는 690억원을 지원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개발 경험이 미래 감염병에 대응해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는 치료제·백신 개발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연구개발도 확대하겠다”고 전했다.
류근혁 복지부 2차관은 “백신·치료제 임상시험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개발을 끝까지 지원하겠다”며 “이를 통해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앞으로 발생 가능한 감염병에 대해서도 대응 가능한 신속한 바이오의약품 개발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