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포커스 = 최종문 기자] 임팩트북이 ‘2021 물 산업 실태와 사업전망’ 보고서를 내놨다.
임팩트북은 이 보고서에서 물 산업 부문별 시장현황과 전망, 국내외 물 산업 관련 업체 사업 동향 조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물 산업은 생활과 공업에 필요한 용수를 생산해 공급하는 산업이다. 발생한 하수와 폐수를 이송·처리하는 산업으로 상수도사업, 하·폐수처리사업, 재이용사업 등의 서비스·건설·운영관리업과 먹는 샘물 사업, 해수 담수화 사업 등이 포함된다.
![]() |
▲ (사진=픽사베이) |
이처럼 물 산업은 수자원을 확보하고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영리 행위를 총칭한다. 물을 취수해 정수 처리한 후 공급하고, 물 사용 이후 하·폐수를 이송 처리하는 데 관여하는 제조·서비스업 일체를 의미한다.
현재 세계는 물 부족 현상이 심화하고 수질 오염으로 물 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지구의 물을 부피로 환산한 13억8600만㎦ 중 담수는 3500만㎦로 전체의 2.5%에 불과하다.
담수 중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지하수와 표층수의 양은 약 30.4% 수준이다. 또 인구 증가와 산업화 등으로 물 수요가 급증하는 점도 물 부족 현상을 심화하고 있다.
세계 인구의 13%인 약 9억명은 안전한 음용수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36%인 약 25억명은 기본적인 위생시설도 없이 생활하고 있다.
보고서는 “물 산업은 인구 증가, 기후변화에 따른 물 부족 심화, 수질오염 등으로 21세기를 선도할 블루 골드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또 수자원 개발, 상하수도, 산업용수 등 물 산업 전반적인 분야가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담수화 시장은 가뭄과 같은 물 부족 시에 대한 항구적인 대안으로써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도 물관리 일원화 관련법 통과로 하천 관리를 제외한 수량, 수질, 재해 예방 등 대부분의 물관리 기능이 환경부로 일원화했다.
임팩트북은 “물 산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올해에도 국내외 시장규모와 전망, 정부 정책, 국내외 관련 업체 동향을 조망, 물 산업의 이해관계자 또는 이 분야의 진출을 고려한 사람들에게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