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산업에 2030년까지 40조원 투자…글로벌 허브·선도 제조기지 구축

기업포커스 / 조무정 기자 / 2021-07-09 14:56:14
  • 카카오톡 보내기
- 산업부, 조기 상용화 목표로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개발에 민관 역량 결집

[소상공인포커스 = 조무정 기자] 이차전지(배터리) 산업에 2030년까지 40조원의 민간 투자가 진행된다. 정부는 대규모 연구개발(R&D)과 함께 세제 혜택·금융 등을 지원하며 연간 1100명 이상의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선다.

정부가 8일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제2공장 부지에서 배터리 1등 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K-배터리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K-배터리 발전 전략은 대한민국을 글로벌 배터리 산업의 선도기지로 구축, 미래의 독보적인 1등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정부의 종합 지원 대책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충북 청주시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제2공장에서 열린 K-배터리 발전전략 보고 'K-배터리, 세계를 차지(charge)하다'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newsis)

이번 대책은 전지3사와 소·부·장 기업들이 2030년까지 40조원 이상을 투자하고, 정부도 R&D·세제·금융 등을 적극 지원해 대한민국을 글로벌 이차전지 R&D 허브와 선도 제조기지, 핵심 소부장 공급기지로 구축하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우선 차세대 배터리 개발과 리튬이온배터리 고도화를 위한 R&D 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과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각종 세제·금융·인프라·인력양성 등 전방위 지원을 확대한다.

사용 후 배터리와 배터리 대여·교체 서비스, 배터리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요 산업군을 발굴·육성한다.

이를 위해 조기 상용화 목표로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개발에 민관 역량 결집, 최고의 이차전지 라인업을 구축한다. 전고체(2027년)·리튬황(2025년)·리튬금속(2028년) 등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 추진한다.

전극소재와 고체 전해질 등 차세대 이차전지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과 함께 차세대 배터리 파크 구축을 통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현재 사용 중인 리튬이온전지의 고성능·고안전·생산성 제고를 위한 초격차 기술력도 확보한다.

하이니켈 양극재·실리콘 음극재 등 소재 개발과 지능형 이차전지(위험의 자가 감지·억제·치유)개발 예타 추진, 친환경·스마트 공정 혁신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이차전지 분야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위해 해외 원재료 확보와 함께 국내 재활용 소재 생산능력을 강화한다. 민간 해외 소재광물 개발 프로젝트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자원보유국과의 협력채널 강화 비축시스템 개선 등을 진행한다.

이차전지 재활용을 통해 리튬·니켈 등 원재료를 다시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개발과 설비구축 등도 추진한다.

이차전지 관련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성장과 기술력 확보를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이차전지 소부장 특화단지(2021년 2월 지정)를 중심으로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을 통한 산업 생태계 구축한다.

또 800억원 규모의 혁신펀드 조성(배터리 3사·정부 등 출연), 국가전략기술 지정을 통한 세액공제, 개정 유턴법 상 인센티브 등을 지원한다.

아울러 석박사 등 설계·고도분석 인력양성을 확대하고 학부에서 기초·응용+특화, 재직자 기술애로 해결 교육 등 이차전지 인력 연간 1100명 이상을 양성한다는 방침이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반도체가 우리 몸의 머리 같은 존재라면 배터리는 동력의 원천인 심장”이라면서 “전동화와 무선화, 친환경화 등 산업의 미래 트렌드를 이끄는 핵심 산업”이라고 했다.

이어 “반도체에 버금가는 또 하나의 주력산업으로 키워 가기 위해 정부가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