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첨단바이오 연구개발 사업추진…6000억원 규모

기업포커스 / 김완재 기자 / 2022-01-26 11:56:54
  • 카카오톡 보내기
산업부·식약처 공동 사업,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생산혁신 생태계 조성
▲ 자료사진. (사진=픽사베이)

 

[소상공인포커스 = 김완재 기자] 정부가 세포·유전자치료제 글로벌 제조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규모 연구개발 사업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제조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혁신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첨단바이오 생산시스템 기술개발사업’에 대해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2024년부터 2031년까지 약 6000억원을 투입해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 조직공학·융복합제제 등의 상용화를 추진한다.

산업부는 “이번 사업은 지난해 6월 정부가 발표한 ‘첨단재생의료·첨단바이오의약품 기본계획’의 후속 조치로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제조·생산역량을 강화해 제품의 신속한 상용화를 촉진하고, 학·연·병원과 기업 간 연구자원과 기술개발 협력체계를 구축해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은 ▲제조기술 확보 ▲공정신뢰도 제고 ▲생산기반 고도화 ▲제조 생태계 활성화 4개 부문으로 기획됐다.

우선 현장 수요 중심의 첨단바이오의약품 소재·장비 기술개발과 의약품 제조기술 개발 등 글로벌 제조·생산기반기술을 확보하고, 첨단바이오의약품 공정설계·자동화 기술과 품질·유통 관리기술 등 제조품질 안정화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또 병원과 기업 협력 기반 세포원료 제조장비 지원·품질고도화 기술개발을 통해 세포원료의 안정적 생산기반을 조성하고, 첨단바이오 산업현장 맞춤형 규제 선진화와 기술이전, 사업화 연계 강화·성과 확산 등 첨단바이오 제조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한다.

정현철 식약처 바이오의약품정책과 과장은 “첨단바이오의약품 분야의 제조·품질관리에 대한 규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산업부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 기술력 확보에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규제과학을 기반으로 사업 전반에 대해 지원하면서 현장에서 요구하는 첨단바이오 분야 전문 인력 양성 지원을 병행하는 등 산업 생태계 기반 강화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영만 산업부 바이오융합산업과 과장은 “기존 치료제 중심이 아닌 첨단바이오의약품의 대량생산과 산업화를 위해 제조·품질기술 개발을 식약처와 함께 지원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면서 “바이오헬스산업의 주력 분야로 성장하고 있는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제조와 품질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사업은 공청회 등을 통해 접수된 의견을 반영해 오는 3월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진행할 예정이다. 평가를 거쳐 2024년 사업이 착수될 계획이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