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고자료. (사진=픽사베이) |
[소상공인포커스 = 조무정 기자] 주요 산업 현장에서 직면하는 디지털 전환 과제를 발굴해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민간 협의체인 ‘산업 디지털 전환 연대’가 올해 100개 이상의 디지털 전환 과제 발굴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 디지털 전환 연대는 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연대 참여기업 간담회를 열고 그간의 성과와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연대에서 발굴한 과제 중 성공 가능성과 산업 파급효과 등이 큰 과제를 선별해 기술개발·사업화를 지원하고 그 성과를 확산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연대는 2020년 10월 6개 업종으로 출범한 이후 규모를 지속해서 확대해 현재 미래차, 가전·전자, 헬스케어, 조선, 유통, 철강, 섬유화학, 에너지, 기계, 소재 등 10개 업종에서 업계·학계·연구계 등 410개 기관과 활동하고 있다.
현재까지 산업 현장의 공정혁신, 제품·서비스 개발,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등을 추진하는 디지털 전환 과제를 총 285개 발굴했다.
이 가운데 5개 대표과제가 산업부 R&D 사업으로 연계돼 지원받고 있다. 올해 신규로 추진하는 ‘한걸음프로젝트 R&D사업’(13개 과제)을 통해 추가 연계·지원한다.
산업부는 올해가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 시행 원년으로 기존 사업의 틀을 벗어난 과감하고 전방위적인 사업 추진을 계획하고 있다.
고성장 잠재기업의 전사적 디지털 전환, 밸류체인내 기업 간 협업을 통한 밸류체인 혁신, ICT·제조·서비스를 아우르는 산업간 대융합 등 민간 주도의 디지털 협업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관련 사업 개편을 준비하고 있다.
연대에서는 올해 1/4분기 동안 410개 참여기업·기관이 41개에 달하는 수요과제를 발굴했고, 올해 연말까지 고도화 작업과 함께 과제 수를 100개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발굴된 과제는 산업디지털전환위원회 심의를 거쳐 선도 사업으로 선정하고 관계부처 협업에 따라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과 기관들은 연대의 활동 방향과 업계 건의 사항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이 가운데 민간의 디지털 전환 수요보다 정부 지원 규모가 작아 다양한 지원 사업을 신설하고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 시행과 관련해 산업데이터 생성·활용 등 주요 이슈에 대한 민간의 이해도 제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노건기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산업 디지털 전환의 성공 방정식에 대한 답은 민간 현장에 있으며 민간이 주도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며 “우리 산업에 디지털 전환 붐(Boom)이 일어나도록 정부·민간, 민간·민간 소통의 자리를 자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