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포커스 = 조무정 기자]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오는 6월부터 고해상도 항공사진 서비스를 국토정보플랫폼에 차례로 제공한다고 20일 밝혔다.
국토정보플랫폼은 항공사진과 국가기본도 등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하는 모든 공간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이나 내려받을 수 있는 공간정보 통합 플랫폼이다.
![]() |
▲ (사진=국토교통부) |
국토지리정보원은 “고해상도 항공사진은 한국판 뉴딜의 한 축이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구축에 필요한 공간정보 핵심 인프라인 만큼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다양한 행정수요를 충족하고, 민간의 신산업 창출과 기술개발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서비스할 것”이라고 전했다.
디지털 트윈은 지상·지하·실내·공중 등 현실 국토를 가상세계에 똑같이 묘사한 가상 국토를 말한다.
국토지리정보원 고해상도 항공사진을 보정한 정사영상은 기존보다 3개월 이상 빠르게 제공하고 전년도 촬영 항공사진을 이용해왔던 국가기본도에도 당해 연도 고해상도 항공사진을 활용, 최신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은 기존 25cm 해상도에서 판독이 어려운 지형지물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4차 산업 환경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 3월 촬영된 독도의 12cm 해상도 항공사진은 기존 25cm 해상도의 항공사진에서는 확인이 어려운 독도 서도 나루터의 태극기까지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부산항 북항 재개발 추진현황 등 주요 국토개발 사업의 추진현황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기존의 항공사진은 지도 제작과 민간포털사이트의 영상지도 서비스, 민원·소송업무의 참고자료로 활용됐다면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은 스마트시티, 인공지능(AI) 학습데이터, 관심 지역 탐지 등 미래를 선도할 다양한 기술개발 분야로 활용도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사공호상 국토부 국토지리정보원장은 “빅데이터, AI와 같은 기술의 발전으로 고품질 데이터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고해상도 항공사진의 잠재적 가치는 더욱 무한할 것”이라며 “개인이 구축하기 힘든 원천데이터를 국가가 주도적으로 확보해 4차 산업을 이끌어 갈 기술개발을 장려하고 디지털 트윈국토를 구축, 다양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하는 등 코로나 이후 미래 성장 동력을 준비하는 한국판 뉴딜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