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금융감독원의 ‘국내 은행 점포 폐쇄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21년 10월까지 폐쇄된 국내 은행 점포 수는 총 1,507곳이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뉴시스> |
[소상공인포커스 = 성지온 기자] 문 닫는 은행 점포가 늘고 있다. 경영 효율성을 이유로 온라인 금융플랫폼 활성화, 중복점포 정리 및 확대하는 경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비대면거래가 익숙지 않은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외면한 처사란 쓴소리가 나온다.
지난 3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서 금융감독원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국내 은행 점포 폐쇄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21년 10월까지 폐쇄된 국내 은행 점포 수는 총 1507곳이다.
은행 점포 폐쇄 경향은 수도권에서 두드러졌다. 시도별 국내 은행 점포 폐쇄 현황에 의하면 서울과 경기가 각각 40.4%(515곳), 19.2%(245곳)로 집계됐다. 부산은 7.7%(98곳), 대구와 경남은 5.8%(74곳), 4.2%(54곳)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5년간 폐쇄된 국내 은행이 10곳이라면 수도권에서만 6곳이 사라진 셈이다.
매년 폐쇄하는 점포 수도 늘었다. 금감원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점포 폐쇄 최고점(420곳)을 찍은 후 2018년 115곳, 2019년 135곳, 2020년 332곳으로 3년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 역시 11월, 12월 수치가 포함되지 않아 10개월치임에도 238곳이 폐쇄한 것으로 집계됐다.
은행별 점포 폐쇄 현황은 하나은행이 23.8%(304곳)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국민은행 17.6%(225곳), 우리은행 12.9%(165곳), 신한은행 10.7%(136곳), 씨티은행 7.1%(91곳) 순이다. 점포 소유 형태별로는 자가 210곳(16.55), 임대 1065곳(83.5%)로 임대 은행 점포의 폐쇄가 절대적으로 컸다.
금감원은 은행 점포 폐쇄 증가 추세 원인으로 ▲인터넷·모바일 등 비대면 거래 증가, ▲지역 내 중복점포 정리 및 확대 등을 꼽았다. 그러나 이를 두고 금융소외계층의 권리를 외면한 공공성 부재라는 비판적 견해가 제시됐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아무리 점포 폐쇄가 은행의 경영 자율성이라고는 하나 은행이 적자도 아닌데 단순히 인터넷, 모바일 뱅킹 등 비대면 거래 증가를 이유로 점포를 폐쇄하는 것은 은행이 가진 공공성은 배제(한 것)”이라고 봤다.
그는 “스마트폰과 자동현금인출기(ATM)사용이 불편한 금융소외계층이나 노약자의 금융 서비스 권리를 무시한 처사”라며 “은행들이 점포 폐쇄 등의 현황을 반기별로 대외 발표하여 소비자들에게 (이 같은 사실을)인지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이어 “금융 당국의 은행 지역 재투자 평가 시 점포 감소에 대한 감점 부과 폭을 확대하여 불이익을 강화시키는 등 금융 접근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