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액 알바 모집합니다”…실제로는 현금수거책

정책/지원 / 김성환 기자 / 2022-02-22 10:16:48
  • 카카오톡 보내기
보이스피싱 피의자 60% 이상이 20~30대
▲ 전화금융사기 피의자 연령대별 통계 (2021년 4월∼12월). (사진=경찰청)
 

[소상공인포커스 = 김성환 기자]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고액 아르바이트를 사칭한 현금 수거책 모집에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전화금융사기 조직이 청년층 구직자를 대상으로 ‘고액·고수익’으로 접근해 모집한 후 실제로는 현금 수거책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많다며 주의하라고 22일 밝혔다.

2021년 전화금융사기 피의자 연령대별 통계를 보면 피의자 총 2만2045명 중 20대 이하가 9149명, 30대가 4711명으로 전체의 63%에 달한다.

이들은 불법 인터넷 도박사이트나 음란물사이트는 물론 정상적인 구직사이트,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인터넷 카페 등에도 글을 올리며 대개 건당 수십만 원 등 고액 아르바이트를 미끼로 청년 구직자를 혹하게 한다.

실제 사례를 보면 거래처 대금 회수·채권추심업무·대출금 회수·판매대금 전달 등 현금을 수거하는 업무로 소개하기도 하지만, 단순 심부름·택배·사무보조 등으로 소개해 놓고, 실제로 접촉하면 ‘해당 업무가 끝났고, 대출금을 회수하라’라는 식으로 말을 바꾸기도 한다.

경찰청은 “인터넷뱅킹 등 계좌이체가 편리한 지금 현금으로 대출금·거래처 대금 등을 지급한다는 것 자체가 상식에 반하는 만큼, 현금 수거 업무는 애초부터 의심해 가담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경찰청과 고용노동부 등에 즉시 신고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 번 범행에 가담하면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유혹, 공범이 됐다는 불안감 등으로 인해 빠져나오기 어려워지게 된다”면서 “어떤 경우에도 아르바이트로 현금을 운반하지 않으며 인간 대포통장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 달라”고 덧붙였다.

또 “대출을 위해서(내 구제 대출)·법인 자금 융통을 위해서라는 등 각종 이유를 대면서 통장·휴대전화를 개설·개통해서 달라는 사례도 있다”며 “대포통장·대포전화(유심)로 활용되면 관련 법률에 따라 처벌됨은 물론 소액결제 등 재산상으로도 큰 손해를 볼 수 있음으로 통장·휴대전화 양도는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의를 촉구했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