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컨테이너 선적과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모습. (사진=뉴시스) |
[소상공인포커스 = 조무정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5%로 내려 잡았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가 19일(현지 시각) 내놓은 ‘세계경제전망(WEO)’에 따르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1월 3.0%에서 2.5%로 0.5%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소비자물가는 기존 3.1%에서 4.0%로 상향 조정했다.
기재부는 지난 1월 IMF 전망(3.0%) 때와는 달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상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IMF 미션단의 기고문에 따르면 전쟁 이후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대되는 와중에도 한국은 상대적으로 회복력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를 제거한 2020~2022년 3년간 평균 성장률은 G7과 비교하면 미국에 이어 2위, 2020~2023년 평균 성장률은 G7국가를 모두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0%로 지난 전망(3.1%)보다 상향 조정됐다. 그러나 미국 7.7%, 영국 7.4%, 캐나다 5.6%, 독일 5.5%, 프랑스 4.1% 등 주요국보다는 낮았다.
한편, IMF는 세계 경제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올해 세계 경제 회복세가 대폭 둔화할 것으로 전망하며 기존 4.4%에서 3.6% 하향 조정했다.
선진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보다 0.6%포인트 낮은 3.3%, 신흥국은 기존보다 1.0% 낮춘 3.8%로 제시했다.
IMF는 올해 세계경제가 전쟁 악화와 높은 인플레이션 등 하방 리스크의 확대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공급망 훼손·물가상승 등 직접효과 ▲러시아 채무 불이행에 따른 대차대조표 위험 등 간접효과 확대 ▲유가·식품가 폭등·난민에 따른 사회적 불안 ▲코로나 재확산 ▲중국 성장둔화 장기화 ▲금리 인상과 부채부담 증가 등이다.
IMF는 국가별 상황에 맞는 유연한 재정·통화정책 등 추진을 권고했다.
부채관리를 위한 코로나·전쟁 취약층 지원 축소는 신중하고, 가계소득·기업대출 선별지원, 중기 재정건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또 각국 여건에 맞는 통화정책과 기대인플레이션 관리, 선진국 통화 긴축에 대응하기 위해 신흥국의 금리인상 확대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기업 파산·회생 지원 강화, 외채 만기 연장, 환율 유연성 확보, 신흥국 자본유출 시 예외적 외환시장개입 등을 고려하고, 백신 공급과 코로나 검사·치료 지원 지속, 코로나로 인한 교육 기회 상실 지원, 채무 재조정 가속화, 글로벌 과세 공조를 제안한다. 디지털화 등 대비 재교육과 고용안전망 확충, 탄소 가격설정·탄소 감축 목표 상향 등 기후변화대응도 강화할 것을 권고했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