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출원인 국적별 IP5 특허출원 현황. (사진=특허청) |
[소상공인포커스 = 김완재 기자] 잉여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저장하는 기술이 탄소중립 달성과 수소경제사회 진입을 이어주는 가교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20일 특허청에 따르면 수전해 기술에 대한 IP5 특허출원이 최근 5년간(2015~2019년) 1469건으로 이전 5년(2010~2014년) 1123건보다 약 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별로는 일본이 1974건(44.3%)으로 가장 많고, 한국은 549건(12.3%)으로 네 번째였다. 특히 중국(617건·13.8%)은 2014년부터 출원량이 급증해 한국을 앞질렀다.
국내 대표 출원 업체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삼성 등이 있지만, IP5 다출원인 목록을 보면 상위 10위 내에 삼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2개 출원인만 포함돼 국내 기업의 해외 지재권 확보 노력은 부족한 편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국내 기업의 수전해 장치 수출 시 해외 특허 확보 노력과 함께 글로벌 기업과 라이선스, 기술개발 협력 등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수전해 기술은 양극과 음극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가함으로써 물(H2O)을 수소(H2)와 산소(O2)로 분해하는 방법이다.
두 전극 사이를 채우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알칼라인, 고분자전해질, 고체산화물 기술의 3가지로 구분된다.
IP5 특허출원 중 알칼라인 수전해 기술 출원이 2443건(54.8%)으로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알칼라인 수전해 기술이 가장 먼저 개발돼 기술이 성숙해 있고 장치 가격이 저렴하며 분해 용량이 커 상용화에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특허청은 설명했다.
또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기술은 전류 밀도가 크고 전력 변동성에 강한 장점이 있어 고가의 전극을 사용하고 내구성이 약한 단점에도 알칼라인 수전해 기술과 병행 발전할 것으로 특허청은 기대했다.
IP5 한국 출원 549건 중 고분자전해질 기술 출원의 비율은 42.4%(233건)로 미국(40.7%)과 일본(39.2%), EU(30.0%), 중국(28.8%)보다 가장 높았다.
고분자전해질 기술 분야에서 한국 국적 출원인을 보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같은 수전해 전문 출원인뿐만 아니라 삼성, SK 이노베이션과 같은 전지 관련 기업이 포함돼 있다.
최정식 특허청 재료금속심사팀 심사관은 “수전해 기술은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것을 넘어 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소경제와 연결하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재생에너지 발전의 변동성을 보완할 수 있는 수전해 기술의 연구개발과 함께 이를 보호할 수 있는 지식재산권의 확보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