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원 사업구상도. (사진=환경부) |
[소상공인포커스 = 김성환 기자] 경기도 수원과 충북 충주가 지역의 탄소중립을 선도할 ‘탄소중립 그린도시 대상지’로 선정됐다.
‘탄소중립 그린도시 사업’은 우리나라가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을 본격화함에 따라 지역 중심의 탄소중립 이행과 확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환경부가 올해 새롭게 추진하는 사업이다.
27일 환경부에 따르면 ‘탄소중립 그린도시’ 대상지 2곳은 지역의 온실가스 배출 진단을 토대로 청정에너지 전환, 흡수원 확대, 순환경제 촉진 등 공간적 특성에 맞는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종합적으로 평가받아 최종 선정됐다.
수원은 행정타운과 공동주택, 상업지구, 산업단지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고색동 일원을 대상지로 해 ▲공공건물 태양광 발전·그린수소 생산 등 에너지 전환 ▲방치된 국공유지를 활용한 흡수원 확충 ▲폐기물 스마트 수거시스템 등을 핵심사업으로 ‘그린경제로 성장하는 탄소중립 1번지 수원’을 만든다.
충주는 주거·상업·공공 중심의 기업도시 일부 지역인 용전리 일원을 대상지로 해 ▲수소모빌리티 스테이션 조성 등 에너지 전환 ▲탄소흡수 군집식재숲 조성 등 흡수원 확충 ▲도시열섬 저감시스템 구축 등을 핵심사업으로 ‘국토의 중심, 탄소중립 그린도시의 중심이 되는 충주’를 만들 계획이다.
![]() |
▲충주 사업구상도. (사진=환경부) |
‘탄소중립 그린도시’ 2곳의 사업은 올해부터 5년간 시행된다. 한 곳당 사업규모는 400억원이다. 이 가운데 240억원(60%)이 국비로 지원된다. 지방비는 160억원(40%)이 투입된다.
올해는 대상지의 탄소중립 기본계획과 중장기 전략 등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내년부터 2026년까지 ‘탄소중립 그린도시’가 본격적으로 조성된다.
환경부는 선정된 2곳이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에 기여하는 등 탄소중립을 이끌 선도 도시의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기복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탄소중립 그린도시 사업을 통해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도시의 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며 “관련 사업을 지속해서 추진, 그 성과가 전국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